앙굿따라니까야3/A2. 둘의 모음

A2.3.10 영지(靈知)의 일부 경: 사마타_ 마음 개발·욕망 제거/위빳사나_지혜 개발·무명 제거

이르머꼬어리서근 2024. 4. 23. 05:22

Vijjābhāgiya-sutta

 

1.

     "비구들이여,

      두 가지 법은 영지(靈知)의 일부이다.

 

      무엇이 둘인가?

 

      사마타위빳사나이다.

 

 

      비구들이여,

      사마타를 닦으면 어떤 이로움을 경험하는가?

      마음이 개발된다.

 

      마음이 개발되면 어떤 이로움을 경험하는가?

      욕망이 제거된다.

 

 

      비구들이여,

      위빳사나를 닦으면 어떤 이로움을 경험하는가?

      통찰지가 개발된다.

 

      통찰지가 개발되면 어떤 이로움을 경험하는가?

      무명이 제거된다."

 

 

2.

     "탐욕에 오염된 마음해탈하지 못하고

      무명에 오염된 통찰지개발되지 못한다.

 

      비구들이여,

      탐욕이 제거되어 마음의 해탈[心解脫]이 있고,

      무명이 제거되어 통찰지를 통한 해탈[慧解脫]이 있다."

 

 

 

 

        * 본경은 초기경(니까야)에 나타나는 사마타와 위빳사나에 대한

           정의를 보여주신 것으로 유명하다.

 

           본경에서 부처님께서는 분명히

           사마타를 마음과 마음의 해탈(심해탈) 즉 삼매[定]와 연결 짓고,

           위빳사나를 통찰지와 통찰 지를 통한 해탈(혜해탈) 즉 통찰지[慧]와 연결 지으신다.

 

           그리고

           삼매는 욕망을 극복하는 수행이고

           통찰지는 무명을 극복하는 수행이라고 밝히고 계신다.

 

 

        * "사마타[止, samatha]는 마음이 하나로 된 상태(cittekaggata)이고

           위빳사나(觀, vipassana]는 형성된 것들을 [무상. 고. 무아라고] 파악하는

           지혜(sarikhara-pariggahaka-ñana)이다.” (AA.ii.119)

 

           한편 「디가 니까야 주석서」는

          "사마타는 삼매[定]이고 위빳사나는 통찰지[慧]이다

           (samatho samādhi, vipassana pañña)." (DA.iii.983)라고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