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 여섯 가지 요소[界. dhatu]
_ 드러난 이 모든 것(물질·정신현상)의 6가지 구성요소 [1]
"비구여,
'이 사람은 여섯 가지 요소[界, dhatu]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한 말인가?
1) 땅의 요소[地界], 2) 물의 요소[水界], 3) 불의 요소[火界], 4) 바람의 요소[風界],
5) 허공의 요소[空界], 6) 알음알이의 요소[識界]가 있다.
'비구여,
이 사람은 여섯 가지 요소[界]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9.
2] 여섯 가지 감각장소[處, ayatana]
_ 드러난 이 모든 것(물질·정신)을 '존재'가 6가지로 감득함 [2]
"비구여,
'이 사람은 여섯 가지 감각접촉의 장소[處, ayatana]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한 말인가?
1) 눈의 감각접촉의 장소, 2) 귀의 감각접촉의 장소, 3) 코의 감각접촉의 장소,
4) 혀의 감각접촉의 장소, 5) 몸의 감각접촉의 장소, 6) 마노의 감각접촉의 장소가
있다.
'비구여,
이 사람은 여섯 가지 감각접촉의 장소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10.
3] 열여덟 가지 마음의 고찰[伺. vicara]
_ '존재'의 18가지 추구 [3]
"비구여,
'이 사람은 열여덟 가지 마노[意]의 고찰[伺, vicara]으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무엇을 두고 한 말인가?
1) 눈으로 형색을 보고
기쁨을 일으키는 형색을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형색을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형색을 고찰한다.
2) 귀로 소리를 듣고
기쁨을 일으키는 소리를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소리를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소리를 고찰한다.
3) 코로 냄새를 맡고
기쁨을 일으키는 냄새를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냄새를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냄새를 고찰한다.
4) 혀로 맛을 보고
기쁨을 일으키는 맛을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맛을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맛을 고찰한다.
5) 몸으로 감촉을 느끼고
기쁨을 일으키는 감촉을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감촉을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감촉을 고찰한다.
.…
6) 마노로 법을 지각하고
기쁨을 일으키는 정신적 현상(법)을 고찰하고, 슬픔을 일으키는 정신적 현상(법)을
고찰하고, 평온을 일으키는 정신적 현상(법)을 고찰한다.
비구여,
이 사람은 열여덟 가지 마노[意]의 고찰로 이루어졌다.'라고 한 것은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140.요소의 분석 경-존재와 벗어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존재 벗음'의 토대 1) 지혜(panna)의 토대 _ '이 모든 것의 소멸'에 대한 지혜 _ 6가지 요소를 꿰뚫어 앎 [5-1] (0) | 2019.12.23 |
---|---|
5. '존재 벗음'을 실현하는 법 _ 알고, 닦고, 버리고, 실현함 (0) | 2019.12.20 |
4. '존재를 벗으려는 자'의 네 가지 토대[adhitthana] _ '존재 벗음(해탈·열반)'의 4가지 토대 (0) | 2019.12.20 |
2. '여섯 가지 요소의 분석에 대한 요약' _ '존재'와 '닦는 자' (0) | 2019.12.20 |
1. 세존께서 뿍꾸사띠 선남자를 찾아가시다. (0) | 2019.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