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웨살리의 큰 숲에 있는 중각강당에 머무셨다.
그 무렵 많은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이
어떤 일 때문에 웨살리에 머물고 있었다.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은 들었다.
"존자들이여, 사문 고따마는 사꺄의 후예인데 사꺄 가문으로부터 출가하여
500명 정도의 많은 비구 승가와 함께
웨살리의 큰 숲에 있는 중각강당에 언덕에 머물고 계십니다.
그분 고따마 존자에게는 이러한 좋은 명성이 따릅니다.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應供)이시며,
바르게 깨달은 분(正等覺, 正遍智)이시며,
영지(靈智)와 실천을 구족하신 분이시며(明行足)이시며,
피안으로 잘 가신 분(善逝)이시며,
세상을 잘 아시는 분(世間解)이시며,
가장 높은 분(無上士)이시며,
사람을 잘 길들이는 분(調御丈夫)이시며,
신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이시며,
부처님(佛)이시며,
세존(世尊)이시다'라고.
그분은
신을 포함하고, 마라를 포함하고, 범천을 포함한 이 세상을
스스로 최상의 지혜로 알고, 실현하여, 드러냅니다.
그분은 법을 설합니다.
그분은 시작도 훌륭하고 중간도 훌륭하고 끝도 훌륭하게 (법을 설하고)
의미와 표현을 구족하여 법을 설하여,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고 지극히 청정한 범행(梵行)을 드러냅니다.
그러니 그런 아라한을 뵙는 것은 참으로 좋은 일입니다."라고.
2.
그러자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은
큰 숲에 있는 중각강당으로 다가갔다.
그 무렵에는 나기따 존자가 세존의 시자로 있었다.
그러자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은 나기따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나기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기따 존자여, 지금 그분 고따마 존자께서는 어디에 머무십니까?
우리는 그분 고따마 존자를 뵙고자 합니다."
"도반들이여, 지금은 세존을 뵙기에 적당한 시간이 아닙니다.
세존께서는 홀로 앉아 계십니다."
그러자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은 거기서
"우리는 그분 고따마 존자를 뵌 후에 돌아갈 것입니다."라고 한 곁에 앉았다.
3.
릿차위의 웃탓다 역시
많은 릿차위 무리와 함께 큰 숲의 중각강당으로 나기따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나기따 존자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서서 릿차위의 웃탓다는 나기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나기따 존자여, 지금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는 어디에 머무십니까?
우리는 지금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을 뵙고자 합니다."
"마할리여, 지금은 세존을 뵙기에 적당한 시간이 아닙니다.
세존께서는 홀로 앉아 계십니다."
그러자 릿차위의 웃탓다도 역시 거기서
"저는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을 뵌 후에 돌아갈 것입니다."라고 한 곁에 앉았다.
4.
그러자 사하 사미가 나기따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나기따 존자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서서 사하 사미는 나기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깟사빠 존자시여, 지금 많은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이
세존을 뵙기 위해서 여기에 와있습니다.
그리고 릿차위의 웃탓다 역시 많은 릿차위 무리와 함께 세존을 뵙기 위해서 여기에 와있습니다."
"사하야, 그렇다면 그대가 세존께 아뢰어라."
"그렇게 하겠습니다, 존자시여."라고 사하 사미는 나기따 존자에게 대답한 뒤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서서 사하 사미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지금 많은 꼬살라의 바라문 전령들과 마가다의 바라문 전령들이
세존을 뵙기 위해서 여기에 와있습니다.
그리고 릿차위의 웃탓다 역시 많은 릿차위 무리와 함께 세존을 뵙기 위해서 여기에 와있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들이 세존을 뵙도록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하야, 그렇다면 승당의 그늘 아래 자리를 마련하여라."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사하 사미는 세존께 대답한 뒤
승당의 그늘 아래 자리를 마련했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승당에서 나와 승당의 그늘 아래 마련된 자리에 앉으셨다.
'디가니까야(長部) > D6.마할리경-이 몸이 자아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청정범행을 닦는 이유 - 4가지 성자의 과위를 위해서 (0) | 2009.11.23 |
---|---|
5. 청정범행을 닦는 목적 - 삼매의 증득을 위해서가 아니다. (0) | 2009.11.22 |
4. 양면을 다 닦은 삼매는 보기도 하고 듣기도 한다 - 그러한 삼매에 들었기 때문에 (0) | 2009.11.22 |
3. 무엇 때문에 그러합니까? - 한 면만 닦은 삼매에 들고, 그러한 삼매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0) | 2009.11.22 |
2. 환속한 수낙캇따가 천상의 소리를 듣지 못한 것은 그런 소리가 없기 때문입니까? (0) | 2009.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