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3-2] 사성제를 꿰뚫어 알아,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정법에 도달함 19.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이와 같이 1) 괴로움을 꿰뚫어 알고, 2) 괴로움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3) 괴로움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4) 괴로음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둟어 알 때, 그는 1) 욕망의 잠재 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2) 적대감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3) '내가 있..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3
10. 3-1] 네 가지 거룩한 진리(四聖諦) 15. "무엇이 괴로움입니까? 1) 태어남도 괴로움입니다. 2) 늙음도 괴로움입니다. 3) 병도 괴로움입니다. 4) 죽음도 괴로움입니다. 5) 근심, 탄식,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도 괴로움입니다. 6) 원하는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입니다. 요컨대, 취착의 (대상인) 다섯 가지 무더기(五取..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3
9. 3] 네 가지 거룩한 진리(四聖諦)를 꿰뚫어 알아, 정법에 도달함 13. "도반이시여, 참으로 장하십니다."라고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의 말을 기뻐하고 감사하며 사리뿟따 존자에게 계속 질문하였다.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1) 바른 견해를 가지고, 2) 견해가 올곧으며, 3) 법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께끗한 믿음을 지니고, 4) 정법에 도달했다 고 할 다..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3
8. 2-2] 음식/음식의 일어남/음식의 소멸/음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아,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정법에 도달함 12. "도반들이여, 이와 같이 성스러운 제자가 1) 음식을 꿰뚫어 알고, 2) 음식의 일어남을 꿰뚫어 알고 3) 음식의 소멸을 꿰뚫어 알고, 4) 음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 때, 그는 1) 욕망의 잠재 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2) 적대감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3) '내가 있다.'는 삿된 견..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2
7. 2-1] 음식/음식의 일어남/음식의 소멸/음식의 소멸 11.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음식이고, 무엇이 음식의 일어남이고, 무엇이 음식의 소멸이고, 무엇이 음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입니까? 도반들이여, 1) 네 가지 음식이 있으니, 그것은 이미 존재하는 중생들을 부양하고 존재하게 될 중생들을 도와줍니다. 무엇이 넷입니까? ① 거칠..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2
6. 2] 음식/음식의 일어남/음식의 소멸/음식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을 꿰뚫어 알아 정법에 도달 9. "도반이시여, 참으로 장하십니다."라고 비구들은 사리뿟따 존자의 말을 기뻐하고 감사하며 사리뿟따 존자에게 계속 질문하였다. "도반이시여, 성스러운 제자가 1) 바른 견해를 가지고, 2) 견해가 올곧으며, 3) 법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께끗한 믿음을 지니고, 4) 정법에 도달했다 고 할 다..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2
5. 1-3] 선·불선과 그 뿌리를 꿰뚫어 알아, 잠재성향을 뿌리 뽑고 정법에 도달함 8.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기 이와 같이 1) 해로움을 꿰뚫어 알고 2) 해로움의 뿌리를 꿰뚫어 알고 3) 유익함을 꿰뚫어 알고 4) 유익함의 뿌리를 꿰뚫어 알 때, 그는 1) 욕망의 잠재 성향을 완전히 버리고, 2) 적대감의 잠재성향을 제거하고, 3) '내가 있다.'는 삿된 견해와 비슷한 자만의 잠..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1
4. 1-2] 유익함(善)/유익함의 뿌리 - 십선업도/탐·진·치 없음 6.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유익함입니까? 1) 생명을 죽이는 것을 삼가는 것이 유익함입니다. 2)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을 삼가는 것이 유익함입니다. 3) 삿된 음행을 삼가는 것이 유익함입니다. 4) 거짓말을 삼가는 것이 유익함입니다. 5) 중상모략을 삼가는 것이 유익합입니다. 6) 욕..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1
3. 1-1] 해로움(不善)/해로움의 뿌리 - 십불선업도/탐·진·치 4. "도반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해로움(不善)이며, 무엇이 해로움의 뿌리이며, 무엇이 유익함(善)이며, 무엇이 유익함의 뿌리입니까? 도반들이여, 1) 생명을 죽이는 것이 해로움입니다. 2)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이 해로움입니다. 3) 삿된 음행을 하는 것이 해로움입니다. 4) 거짓말하는 것..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1
2. 1] 해로움(不善)/해로움의 뿌리, 유익함(善)/유익함의 뿌리를 꿰뚫어 알아 정법에 도달 3. "도반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1) 해로움(不善)을 꿰뚫어 알고 2) 해로움의 뿌리를 꿰뚫어 알고, 3) 유익함(善)을 꿰뚫어 알고 4) 유익함의 뿌리를 꿰뚫어 알 때, 성스러운 제자가 1) 바른 견해를 가지고, 2) 견해가 올곧으며, 3) 법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니고, 4) 정법에 도.. 맛지마니까야(中部)/M9.바른 견해 경-바른 견해의 증득 201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