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지마니까야(中部)/M44.교리문답의짧은경-아나함의 물음 16

6. 5) 취착과 오취온은 같은 것입니까?

6. "스님, 그러면 취착과 취착의 [대상인] 다섯 가지 무더기는 같습니까, 아니면 취착과 취착의 [대상인] 다섯 가지 무더기는 다른 것입니까?" "도반 위사카여, 이 취착은 취착의 [대상인] 다섯 가지 무더기와 같은 것도 아니고, 취착과 취착의 [대상인] 다섯 가지 무더기와 다른 것도 아닙니..

5. 4) 무엇을 두고 '존재더미(有身)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라고 합니까?

5. "스님, '존재 더미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 존재 더미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라고 합니다. 스님, 세존께서는 무엇을 존재 더미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이라 하셨습니까?" "도반 위사카여, 그것은 성스러운 팔정도[八支聖道]이니, 즉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

4. 3) 무엇을 두고 '존재더미(有身)의 소멸이라고 합니까?

4. "스님, '존재 더미의 소멸, 존재 더미의 소멸'이라고 합니다. 스님, 세존께서는 무엇을 존재 더미의 소멸이라 하셨습니까?" "도반 위사카여, 그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없음입니다. 도반 위사카여, 세존께서는 이를 일러 존재 더미의 소멸이라 하..

3. 2) 무엇을 두고 '존재더미(有身)의 일어남'이라고 합니까?

3. "스님, '존재 더미의 일어남, 존재 더미의 일어남'이라고 합니다. 스님, 세존께서는 무엇을 존재 더미의 일어남이라 하셨습니까?" "도반 위사카여, 그것은 1)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2) 향락과 탐욕이 함께하며 3) 여기저기서 즐기는 갈애이니, 즉 1)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欲愛], 2) 존..

2. 1) 무엇을 두고 '존재더미(有身)'라고 합니까?

2. "스님, '존재 더미[有身], 존재 더미'라고 합니다. 스님, 세존께서는 무엇을 존재 더미라고 하셨습니까?" "도반 위사카여, 세존께서는 취착의 [대상인] 이들 다섯 가지 무더기[五取蘊]들을 존재 더미라고 하셨습니다. 1) 그것은 취착의 [대상인] 물질의 무더기[色取蘊], 2) 그것은 취착의 [대..

1. 남편이었던 아나함이 부인이었던 아라한에게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라자가하 대나무 숲의 다람쥐 보호구역에 머무셨다. 그때 위사카 청신사는 담마딘나 비구니를 만나러 갔다. 가서 담마딘나 비구니에게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곁에 앉아서 위사카 청신사는 담마딘나 비구니에게 이렇게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