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도반들이여, 여기
9] 속임수(maya)도 나쁘고,
10] 사기(satheyya)도 나쁩니다.
속임수도 버리고, 사기도 버리기 위해
중도(中道)가 있습니다.
그것은
1) 안목을 만들고,
2) 지혜를 만들며,
3) 고요함으로 인도하고,
4) 최상의 지혜로 인도하고,
5)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고,
6) 열반으로 인도합니다.
그러면 무엇이
안목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고, 고요함으로 인도하고, 최상의 지혜로 인도하고,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고,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입니까?
그것은 바로 이 성스러운 팔정도(八支聖道)이니,
1) 바른 견해(正見),
2) 바른 사유(正思惟),
3) 바른 말(正語),
4) 바른 행위(正業),
5) 바른 생계(正命),
6) 바른 정진(正精進),
7) 바른 마음챙김(正念),
8) 바른 삼매(正定)
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중도이니,
그것은
1) 안목을 만들고,
2) 지혜를 만들며,
3) 고요함으로 인도하고,
4) 최상의 지혜로 인도하고,
5)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고,
6) 열반으로 인도합니다."
'맛지마니까야(中部) > M3.법의상속자경-팔정도,오염을 여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무엇을 공부짓고, 무엇을 버리는가?: 팔정도를 닦아 13] 자만, 14] 거만을 버린다. (0) | 2015.07.06 |
---|---|
11. 무엇을 공부짓고, 무엇을 버리는가?: 팔정도를 닦아 11] 완고함, 12] 뻔뻔함을 버린다. (0) | 2015.07.06 |
9. 무엇을 공부짓고, 무엇을 버리는가?: 팔정도를 닦아 7] 질투, 8] 인색을 버린다. (0) | 2015.07.06 |
8. 무엇을 공부짓고, 무엇을 버리는가?: 팔정도를 닦아 5] 모욕, 6] 얕봄을 버린다. (0) | 2015.07.06 |
7. 무엇을 공부짓고, 무엇을 버리는가?: 팔정도를 닦아 3] 분노, 4] 적의를 버린다. (0) | 2015.07.06 |